
Lauren Leffer
Journalist at Freelance
Contributing Writer at Popular Science
Contributing Writer at Scientific American
Former Bug Scientist / Current Science Journalist/ Contributor @sciam and @PopSci / Bylines also @NatGeo @Gizmodo @AudubonMag Also (at)laurenleffer.bsky.s
Articles
-
1 week ago |
popsci.com | Lauren Leffer
“Malodorous flowers” of three distinct plant lineages, Eurya, Asarum, and Symplocarpus that have convergently acquired the newly discovered enzyme disulfide synthase.
-
1 week ago |
yahoo.com | Lauren Leffer
As the saying goes, you catch more flies with honey than vinegar, but (discounting that vinegar is actually a great way to trap fruit flies), there’s an even better method: smell like rotting meat. As a subset of flowering plants figured out long ago, many flies and some beetles are drawn to the putrid and foul over the pretty and floral. Exploited correctly, these insects‘ instincts can make them great pollinators. But how does a flower conjure up the odor of decaying flesh?
-
1 week ago |
theverge.com | Lauren Leffer
Science /HealthUnder RFK Jr., ‘Make America Healthy Again’ means junk science like ‘survival of the fittest.’May 6, 2025, 1:00 PM UTC Image: Cath Virginia / The Verge, Getty Images“Do your own research,” Robert F. Kennedy Jr. advised parents considering vaccination for their children during an 80-minute televised interview with Dr. Phil last week.
-
1 week ago |
popsci.co.kr | Lauren Leffer
혹한의 바다에서 숨을 참고 물질을 하는 제주 해녀들에게 특별한 유전적 적응이 이루어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일(현지 시간) 미국 유타대학교 멜리사 일라르도 박사 연구팀에 따르면, 제주 해녀 및 제주도민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추위에 잘 견디고 잠수 시 혈압을 낮추는 데 유리한 유전자 변이가 다른 지역 사람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수 세대에 걸친 해녀들의 고된 물질 작업이 유전자에 진화적 흔적을 남겼음을 시사한다. 제주도의 해녀는 보통 별도의 잠수 장비 없이 맨몸으로 바다에 뛰어든다. 한 번에 1~2분가량 숨을 참으며 해저에서 전복, 성게, 해초 등을 손으로 채취한다. 이런 전통을 수 세기 동안 이어왔다. 연구팀은 극한 환경에서 생업을 이어가는 방식이 해녀와 그 친척들의 유전자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조사했다. 연구팀은 과거 인도네시아 등지의 바자우(Bajau)족 잠수부들이 유전적으로 더 큰 비장을 가져 잠수 시 산소 공급에 유리하다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다.
-
1 week ago |
popsci.co.kr | Lauren Leffer
사람은 과거를 낭만적으로 그리는 경향이 있다. 증조부모 세대가 어린 시절 먹었던 음식을 상상해보자. 농장에서 갓 딴 신선한 농산물, 순수하게 제분된 곡물, 깨끗한 육류와 유제품을 상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19세기 중후반 미국에 살았다면, 그런 목가적인 풍경은 현실과 거리가 멀었을 가능성이 높다. 1906년 이전 미국에는 연방 차원의 식품 안전 규제가 전무했다. 동네 식료품점은 표시되지 않은 첨가물, 검증되지 않은 화학물질, 먹을 수 없는 충전재가 넘쳐나는 무법지대였다. 과학 저널리스트 데버라 블럼에 따르면, 미국인은 1800년대 중반 식품 관련 법률이 제정되기 전에 발생한 공백기 동안 수십 년간 "쓰레기 같은" 음식을 먹으며 살아야 했다. 그의 2019년 저서 '독극물 분대(The Poison Squad)'는 기념비적인 식품의약품법(Food and Drug Act)의 탄생 비화를 상세히 다룬다.
Try JournoFinder For Free
Search and contact over 1M+ journalist profiles, browse 100M+ articles, and unlock powerful PR tools.
Start Your 7-Day Free Trial →X (formerly Twitter)
- Followers
- 954
- Tweets
- 654
- DMs Open
- Yes